2011년 8월 19일 금요일

[기술-자료정리] 정보통신의 개념과 정보통신시스템

1. 정보통신(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의 개념
 광의의 의미로는 상대방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협의의 의미로는 컴퓨터를 통신회선으로 연결하여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보통신은 네트워크(통신시스템) + 컴퓨터(정보시스템)와 같이 이해할 수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은 정보처리기술과 통신기술이 융합된 것이 된다.          

 
 여기에서 정보처리기술이란 데이터를 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해 데이터 처리를 하는 기술을, 통신기술이란 서로 멀리 떨어진 정보원과 정보 목적지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2. 정보통신시스템
 정보통신시스템이란 원격지에 분산 설치된 각 단말장치의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 상호간을 통신 회선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가공, 처리, 보관 및 전송하기 위하여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정보통신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처리계와 데이터 전송계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계는 정보를 가공, 처리 및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컴퓨터와 주변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 처리계에서 가공된 정보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통신회선과 신호변환장치로 구성된다.





송.수신자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이용하는 장치로, 데이터 단말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라고 한다. 단말장치의 예로는 휴대폰, PDA, ATM 등이 있다.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송신자에 의해 송신된 신호가 통신회선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되고, 다시 수신자에 의해 수신 될 때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신호 변환을 담당하는 장치가 신호변환 장치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신호변환 장치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간의 변환을 담당하거나 같은 디지털 신호라 해도 기기마다 차이가 나는 신호의 형태를 적합한 형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통신회선이란 송.수신측의 신호변환 장치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매체로 크게 유선 전송매체와 무선 전송매체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 동축케이블 등은 유선 매체, 라디오파 등은 무선매체라 할 수 있다.
 
 정보통신시스템에서의 인터페이스란 간단하게 여러 장치간의 연결시 필요한 약속이라 할 수 있다. 오른쪽의 그림은 인터페이스의 한 예이다.

 공학도가 아니기에 상당히 낯선 감이 없지 않으나, 기술적으로 세분화, 구체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와 기술들도 기본적으로는 이렇게 데이터 처리계와 데이터 전송계의 구분 및 송.수신자, 신호변환장치, 통신회선의 범주에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




참고문헌
정보통신이해, 송주석
정보통신개론, 고응남

2011년 8월 18일 목요일

[컨텐츠] "하이컨셉트(할리우드의 영화 마케팅)", By Justin Wyatt






1. 책 소개

 영화에 관한 소개 또는 평가에 흔히 등장하는 표현 중 하나가 '헐리우드식 영화' 또는 '헐리우드식 블록버스트' 이다. '헐리우드식 영화'라 하면 조금은 상투적이고 단순하나 이해하기 쉬운 스토리텔링을 가진, 뭔가 비싸보이는 것들을 때려 부수고 터트리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 그러한 느낌의 영화를 떠올리게 된다.     

 이 책은 이러한 애매한 느낌의 범주를 넘어 '헐리우드식 영화'를 좀더 분석적으로 파고든다. 책에서는 컨텐츠로서 헐리우드식 영화자체를 '하이컨셉' 개념을 통해 설명할 뿐 만 아니라, 하이컨셉 영화가 등장하게된 배경을 소개하고, 헐리우드식 영화의 기획, 제작, 배급, 마케팅, 머천다이징, 후속편제작 등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독자는 영화산업의 역사속에서 발전해온 '상업적 영화'의 성격과 생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2. 주요 개념 : 하이컨셉

 2.1.하이컨셉의 'High' : '집약되기 쉬운, 전달되기 쉬운'

 'high'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 때문에 자칫 하이컨셉이라는 단어를 형이상학적, 고차원적, 고상하고 고결한 무언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하이컨셉은 그러한 의미와는 전혀 무관하다. 오히려 하이컨셉 영화는 상업적 영화의 대표적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고차원적이라 일컬어지는 '예술 영화'와는 대척점에 설 수 있는 개념이다.

 하이컨셉에서의 high가 의미하는 바는 '집약도가 높다', '압축률이 높다', '전달력이 높다' 에서의 high이다. 이는 두어시간 가량의 영화를 얼마나 짧게 축약해서 표현할 수 있는지, 또 이렇게 압축된 표현이 관객에게 얼마나 호소력 있게 전달될 수 있는 지를 의미한다. 영화를 더 짧게 압축하여 표현할 수 있고, 이렇게 압축된 표현이 관객에게 더 호소력있게 전달될 때 'high'라 부르는 것이다. 예를들어 스티븐 스필버그가 좋은 영화의 조건 중 하나로 '25단어 이내로 전달할 수 있는 이야기'를 꼽은 것은 하이컨셉의 성격을 잘 타나내준다.




하이컨셉의 예 "what if a shark attaks?"

  반대로 low컨셉 영화의 경우 영화를 짧게 집약하여 표현하기도 곤란하고, 그러다보니 관객에게 영화를 축약된 표현으로 전달하기도 어려운 영화를 의미한다. 중구난방의 저질영화도 low컨셉영화라 할 수 있고, 메시지나 고민이 다층적이고 심오한 등의 이유로 단순히 축약된 스토리만을 통해서는 전달이 쉽지 않은 '예술영화'도 로우컨셉영화에 포함된다.

  2.2. 하이컨셉 : 상업영화의 대표적 형태

 'high'의 의미가 '집약되기 쉽고, 전달되기 쉬운'임을 언급하였다. 그렇다면 왜, 어떠한 배경에서 '헐리우드식 영화'들이 이러한 하이컨셉을 차용하고 있으며 그 효과가 무엇일까.

 책에서는 하이컨셉 영화를 구체적으로 트랜디한 영화소재, 영화에 적합한 페르소나의 스타,  짧고 강렬하게 전달될 수 있는 내러티브, 소비자를 고려한 이미지 연출과 배경음악 선정 등을 고려하여 만들어지는 영화로 설명하고 있다. 세분시장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합한 영화를 제작, 흥행시켜 스익을 극대화 하는 목적에서 유행하게된 컨셉이 하이컨셉이라는 것이다.

 인문학적인 관점의 비판은 별론으로 하고, 하이컨셉은션 상업영화로서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압축된 표현의 높은 호소력은 영화 제작을 위해 투자자들을 설득하는 프레젠테이션에서부터 흥행을 위한 마케팅, 영화를 중심으로한 머천다이징, 나아가 후속작 제작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간단히 말해 하이컨셉영화는 투자받기 쉽고, 팔기 쉬운 영화이다.


3. 마치며

 결국 하이컨셉은 마케팅의 STP가 영화라는 컨텐츠에 적용된 것이라 생각된다. 감독이 전하고자하는 바가 있고, 이를 공감하는 관객이 많으면 흥행에 성공하는 방식의 영화가 아니라, 애초에 소비자들의 수요에 초점을 맞추어 영화의 제작, 마케팅, 배급 등이 이루어지며, 그러한 과정에서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식을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이 바로 하이컨셉 영화인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80, 90년대 미국의 영화산업을 연구하여 이 책을 저술하였다. 책의 도입부에도 역자가 이 책의 내용이 약간은 진부한 것일 수 도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책에서와 같이 하이컨셉을 단지 '대중적인 수요를 위한 기획된 영화'와 관련된 것으로 본다면 현시점에서 하이컨셉은 비판의 여지가 많다. 소품종 대량생산 시대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시대가 되었다고 하고(정말 그런지 잘 와닿지는 않지만), 미디어의 발달등에 힘입어 롱테일 이론이 부각되기도 하며, 다양화와 다원화가 하나의 주류적 흐름이 되어가는 등의 추세를 볼때 말이다. 어차피 사람이 정하기 나름인것이 개념이니! 하이컨셉의 의미를 영화시장에서의 효율적인 컨텐츠 제작 및 유통을 위한 마케팅 기법이라고 융통성 있게 재해석 하고 이를 대중적인 시장 뿐 아니라 니치마켓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면 하이컨셉은 분명 영화산업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