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8월 19일 금요일

[기술-자료정리] 정보통신의 개념과 정보통신시스템

1. 정보통신(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의 개념
 광의의 의미로는 상대방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협의의 의미로는 컴퓨터를 통신회선으로 연결하여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보통신은 네트워크(통신시스템) + 컴퓨터(정보시스템)와 같이 이해할 수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은 정보처리기술과 통신기술이 융합된 것이 된다.          

 
 여기에서 정보처리기술이란 데이터를 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해 데이터 처리를 하는 기술을, 통신기술이란 서로 멀리 떨어진 정보원과 정보 목적지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2. 정보통신시스템
 정보통신시스템이란 원격지에 분산 설치된 각 단말장치의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 상호간을 통신 회선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가공, 처리, 보관 및 전송하기 위하여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정보통신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처리계와 데이터 전송계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계는 정보를 가공, 처리 및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컴퓨터와 주변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 처리계에서 가공된 정보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통신회선과 신호변환장치로 구성된다.





송.수신자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이용하는 장치로, 데이터 단말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라고 한다. 단말장치의 예로는 휴대폰, PDA, ATM 등이 있다.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송신자에 의해 송신된 신호가 통신회선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되고, 다시 수신자에 의해 수신 될 때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신호 변환을 담당하는 장치가 신호변환 장치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신호변환 장치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간의 변환을 담당하거나 같은 디지털 신호라 해도 기기마다 차이가 나는 신호의 형태를 적합한 형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통신회선이란 송.수신측의 신호변환 장치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매체로 크게 유선 전송매체와 무선 전송매체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 동축케이블 등은 유선 매체, 라디오파 등은 무선매체라 할 수 있다.
 
 정보통신시스템에서의 인터페이스란 간단하게 여러 장치간의 연결시 필요한 약속이라 할 수 있다. 오른쪽의 그림은 인터페이스의 한 예이다.

 공학도가 아니기에 상당히 낯선 감이 없지 않으나, 기술적으로 세분화, 구체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와 기술들도 기본적으로는 이렇게 데이터 처리계와 데이터 전송계의 구분 및 송.수신자, 신호변환장치, 통신회선의 범주에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




참고문헌
정보통신이해, 송주석
정보통신개론, 고응남

댓글 없음:

댓글 쓰기